[....] 책 읽기의 소외 때문일 것이다. 입시 때문에, 학점 때문에, 취직 때문에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이나, 다른 사람 앞에서 잘난 척하거나, 어디엔가 써먹기 위해 두서없이 암기하는 책 읽기도 소외의 한 표현이며, 현실에서 겪기 마련인 고통을 잊어버리기 위해 달콤한 책들에 빠져드는 것도 주관적으로는 즐거움으로 느끼지만, 객관적으로는 소외의 한 표현이다.
- 박성헌, 책 고르기와 책 읽기 중


언젠가 읽었던 [근대인의 소외](프렌츠 파펜하임. Fritz Pappenheim) 서문에는 고야(Goya)의 그림을 통해 소외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교수형 당한 한 죄인의 이(치아)를 훔치기 위해 한 여인이 다가간다. 여인은 죽은 이의 이를 원하지만, 차마 자기 욕망의 목적인 죽은 이의 이를 직접 응시하지 못한다. 여인은 손수건으로 시선을 가린다. 여인의 얼굴은 욕망과 공포로 가득 차 있다. 고야의 동판화가 명징하게 드러내는 것 처럼 소외는 욕망과 자아 사이의 부조화에서 연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oya


여인의 시선이 자아가 지향하는 궁극의 소망에 관계한다면, 현실적인 욕망을 함축하는(물질을 쟁취할 수 있는 가장 익숙한 도구인) 손은 자신의 욕망, 그 이상적인 조화의 풍경과는 단절된 현실적인 욕구를 상징한다. 그 눈(目)과 손(手)은 일치하지 않은 채로 서로 다른 자기의 요구(소망과 욕망)를 향해 있고, 그 둘은 서로 만나지 못한다.

소망은 바라봄으로부터 시작한다. 그것은 자기 소망을 대상으로 추락시키지 않는다. 그 소망은 '나-너'라는 짝말(부버) 속에 있는 '너'를 응시할 때 생겨난다. 그건 그저 그 '관계' 속에서 서로를 응시하고, 바라볼 뿐이며, 서로를 존재 전체로서 느끼고, 만지고, 탐닉하지만, 결코 소유하지는 않는다. 이미 그 존재는 '나-너'라는 관계 속에서 나이고, 그 '사이'에서 생겨나는 생성적 일치와 조화의 풍경 속에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굳이 너를, 혹은 나를 대상화시켜 복종하거나, 복종시킬, 소유하거나, 소유당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욕망은 '나-그것'이라는 또 다른 짝말 속에서 세상을 바라보게 하고, 그렇게 자기가 바라는 소망들을 대상화(욕망화)시킨다. 그것은 쟁취해야 하는 대상이 되고, 소유해야 하는 목적이 된다.

소망이 '관계' 속에서 피어난다면, 욕망은 '단절' 속에서 싹튼다. 소망이 '조화'와 관계 맺는다면, 욕망은 차별과 위계에 관계한다. 욕망의 성취는 우리를 달콤한 즐거움에 빠뜨릴 수는 있지만, 우리가 원하는 행복의 이미지가 우리 안에서 피어나게 하지는 못한다. 욕망은 관계를 모르고, 단 한번도 관계 속에서 숨쉰 적 없으며, 그것은 욕망에 내재된 원초적인 소외 인자이기 때문이다. 물론 행복은 이미지일 뿐이지만, 그 행복의 이미지는 '우리'라는 관계 속에서 태어난다(정현종).

우리는 더 없는 욕망 과잉의 시대를 살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더 이상 행복하지 않다. 우리는 끊임없이 무엇인가를 욕망하고, 갈구하며, 쟁취하고자 한다. 하지만, 그것이 성공하는 경우에도 우리에게는 텅빈 공허만이 남을 뿐이다.  '나와 너'라는 관계의 풍경 속에서 '온존재를 기울여' 만나지 못한다면, 그저 쟁취하려는 욕망은 채워지지 않는 소외 만을 남길 뿐이다. 이것은 책 뿐만 아니라, 모든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소외는 궁극적으로 나를 나로부터 멀리 밀어낸다.
나라는 고립적 실존이 우리라는 소망의 풍경 속에서 스스로를 추방시킴으로써, 기꺼이 그렇게 욕망에 복종함으로써, 소외는 '나-너'라는 관계 속에서만 살려질 수 있는 나라는 존재를, 결국은, 완전히 지워버린다.





* 참조 페이지
맹문재, 패스 카드 시대의 의리지기 : 고야 그림에 대한 희미한 기억에 때문에 참조.


* 발아점
책 고르기와 책 읽기 (박성헌)


트랙백

트랙백 주소 :: http://minoci.net/trackback/565

댓글

댓글창으로 순간 이동!
  1. viamedia 2008/08/03 16:50

    생각의 깊이를 더해 주는군요. 그 틈을 소외라는 것으로 풀어주니 훨씬 명징해집니다.

    perm. |  mod/del. |  reply.
    • 민노씨 2008/08/04 04:04

      별말씀을요...
      그런데, 람세스통신으로 거처를 잠시 옮기셨네요.. ^ ^

      http://lambeth.skhcafe.org/

      자주 찾아뵙겠습니다.
      모쪼록 건강 유의하시구요..

  2. 가즈랑 2008/08/03 16:51

    고야의 그림이 참 인상적이고 처음엔 무슨 의미인가 싶었는데 글을 읽으니 저절로 와닿습니다. 그런데 소외를 관찰하고 분석한 선인들의 용어는 무척 구체적이고 즉각 이해되는데, 어떻게하면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말들은 참 애매합니다.

    perm. |  mod/del. |  reply.
    • 민노씨 2008/08/04 04:06

      아까 전화를 통해서도 이야기했지만.. ^ ^;
      정말 핵심적인 질문이자, 어려운 질문을 주신 것 같습니다.
      저는 그 소외를 깨뜨리는 가장 유용한 우리 시대의 발명품이 블로그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물론 그것은 도구에 불과한 것이라서 거기에 온기와 실체를 채우는 일은 다시 또 이야기되어야 할테지만요..

  3. 히치하이커 2008/08/03 23:35

    이번 방학의 전반기에는 정말 책을 하나도 읽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웹서핑이나 블로그를 하며 다른 글을 많이 읽지도 않았구요. 이래저래 많은 잡념에 휩싸여 있어서인지 그냥 좀 더 멍하게 지내고 싶었달까요. 뭐, 오히려 그럼으로써 무분별한 욕망만 늘어난 것 같기도 싶지만요. 하하.

    perm. |  mod/del. |  reply.
    • 민노씨 2008/08/04 04:09

      저도 최근 2, 3년 동안 새로운 책을 그다지 많이 읽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블로깅과 책이 서로 상극으로 작용했다고 해야 하나... 그런 부분이 없지 않은 것 같아요.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블로깅이 책읽기를 자극할 수도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여전히 '책'은 소중한 양식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최근에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을 건너뛰기 신공으로 다시 읽었는데, 검색해보니 강유원씨께서 pdf 파일로 번역해서 올리신 게 있더만요.

      http://armarius.net/bbs/view.php?id=manuscript&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64

      특히 부록처럼 말미에 있는 마르크스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11개의 테제'는 거듭 음미할 만한 지적인 것 같습니다.

  4. Shain 2008/08/04 00:11

    안상헌 교수님의 아크로폴리스는 방문한지 꽤 된 기억이 들어요..
    기억도 안날 만큼 수년전에.. 글귀 하나를 링크로 찾아들어갔던 기억이 나는데..
    글쎄, 여전히 순수학문의 향기가 나는 그런 곳입니다.
    그 이상은 가까이 간 기억이 없네요
    고야의 그림은 항상 변칙적인 기억을 남겨요
    그의 그림 속 인물들은 항상 배경과 어긋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어떤 그림은 그냥, 별로 생각해볼 것도 없이 무서웠죠..
    도서관에서 품에 안기지도 않을 만큼 큰 화첩을 펴고
    한참 들여다봤던 기억이 납니다..
    안상헌 교수님은 여전히 글을 종종 올리시고 계셨군요..

    perm. |  mod/del. |  reply.
    • 민노씨 2008/08/04 04:12

      샤이안님께서는 특히 눈길이 가셨겠네요... ^ ^;
      저는 우연히 발견한 사이트인데, 정말 좋은 글이 많더군요.
      틈틈이 가서 읽을까 싶습니다.
      무엇보다 우리말로 모두 체화해서 쓰신 글들이라서 읽기가 참 편했는데요, 그 점이 가장 좋더라구요.

  5. 겸군 2008/08/04 02:45

    "소외는 욕망과 자아 사이의 부조화에서 연원한다." 라...졸업을 앞두고 취업스터디를 하고 있는 지금의 제가 외로운 이유도 그 때문일까요. 처음엔 경험삼아 해보자고 했던 스터디가 점점 저를 욕망의 함정으로 빠뜨리고 있는것은 아닐까 두렵습니다. 진정 나의 소망이 무엇이었던가를 되새기는 새벽이 될 것 같습니다.

    perm. |  mod/del. |  reply.
    • 민노씨 2008/08/04 04:13

      그런 새벽들이 나중에는 참 그리워지더랍니다...
      고통스럽지만 소중한 시간들을 잘 견디시길 바라봅니다. : )

  6. 여형사 2008/08/04 11:06

    책읽기의 소외라니.. 뜨끔하네요.

    자신의 생산물이 자신(생산자)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소외에 대한 정의로 읽었던 것이 어렴풋이 기억나는데, 말씀하신대로 책읽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책읽기, 남들이 다 본 책 억지로 읽기, 무슨 말인지 모르지만 자랑하기 위한 책 읽기.

    쓰고보니 너무 지엽적인 댓글이군요 ^^;

    perm. |  mod/del. |  reply.
    • 민노씨 2008/08/05 12:36

      뜨금이라뇨. ㅎㅎ

      마르크스의 [경제철학 초고]에 있는 소외론을 말씀해주신 건가요? 아무튼 여형사님처럼 애정이 가득한 독서가는 뜨끔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 )

  7. 여형사 2008/08/05 09:57

    아앗. 잘 아시네요. 사회과학 언저리의 책 중에서 읽으면서 가슴이 뛰던 책은 말씀하신 [경제철학 초고]가 거의 유일했던 것 같아요. 근데 최근들어 다시 보니 그런 감동(?)은 없더군요 ^^; 역시 무뎌지는 것인지..

    역시 본문 내용과 큰 관련 없는 댓글이네요 ^^;

    perm. |  mod/del. |  reply.
    • 민노씨 2008/08/05 18:12

      제가 본문에서도 '발아점'의 형태로 소개한 충북대 박성헌교수 사이트 중 '논문자료'에 있는 '경제철학 초고에 관한 해제'를 (정말 우연히) 출력해서 읽고 있습니다. 어제 저녁에 출력했는데 말이죠. ㅎㅎ. 그 웹페이지에 있는 글들 가운데서는 그래도 분량이 꽤 되는 글인데요. 9포인트로 뽑으니까 15장 정도 되더만요. 여형사님께도 추천 드립니다.

      http://web.chungbuk.ac.kr/~ahnsah/tnboard/read.cgi?board=open_board&y_number=7&nnew=1

      박성헌 교수의 글은 정말 전공자가 아니어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잘 정돈된 '우리말'로 쓰여진 글이라서... 더더욱 좋더라구요. 가끔은 교수 특유(?)의 건조함이 없지 않지만요. 따로 포스팅을 해서 박성헌의 사이트를 소개하고 싶을 정도입니다.

  8. 서진 2008/08/05 17:08

    깊은 공감 하고 갑니다-...

    perm. |  mod/del. |  reply.
    • 민노씨 2008/08/05 18:12

      무더위에 연애 잘 하시구요. ^ ^

가벼운 마음으로 댓글 한방 날려주세요. : )

댓글 입력 폼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