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바닥의 짜장면집 순례에 삘 받아 쓰는 무교동(실은 다동) 남포면옥 간단 체험기
마침 어제 남포면옥이란 꽤 유명한 냉면집에 갔다.
여기는 워낙에 유명한 곳이라서 내가 어떤 안좋은 체험담을 써도 장사 잘 될거다. 게다가 내 글 읽고 꼭 가야지 하던 독자가 안 갈 것 같지도 않고.. 그래서 편하게 간단한 소감을 적어본다. 계산은 물론 내가 안했다. ㅡ.ㅡ;
이하 먹은 순서대로.
빈대떡 / 1만1천원(긴가민가해서 네이버 지역정보 찾아보니 1만1천. 1만원으로 기억하고 있었는디...)
: 동그랑땡 보다 약간 큰 빈대떡 두 장. 이건 그래도 그래도 먹은 중 가장 맛있었지만, 큰 동그랑땡이라고 해야지 이걸 빈대떡이라고 하기엔 좀..;;; 두 장을 시켰는데, 처음엔 3장이 나와서 일인분에 한장 반인가? 이랬다능. 잠시 뒤에 나머지 한장이 이산가족 상봉.
이건 홍보용 사진이고, 흰접시에 두장 나온다. ㅡ.ㅡ; 크기는 앞서 말했듯 큰 동그랑땡 수준.
어복쟁반 / 4만9천원
물만두(어복쟁반에 넣는 만두사리용으로 시킴) / 가격 미상
: 어떤 블로거는 이게 냉동 물만두라고 하는데, 잘 모르겠다. 맛은 냉동 물만두 맛이나 이 맛이나 내가 워낙에 싸구려 입맛이라 그게 그건것 같더라. 양은 많지 않다.
물냉면 / 7천5백원
: 내가 조리료에 길들여진 싸구려 입맛이라서 그랬겠지만, 역시나 심심하더라능...;;; 별 맛을 모르겠다. 고기에선 약간 고기 비린내도 나고. ㅡ.ㅡ;;
오이랑 백김치는 없었던 것 같은데... 이것도 약간은 홍보용 사진 같다.
양은 꽤 많은 편. 면발은 잘 끊어진다(그게 특징이란다).
밑반찬
- 동치미 : 시원하네 정도. 냉면 국물도 이거. 여기는 동치미가 유명하단다.
- 김치 : 이건 안 먹었다.
- 김무침 : 그럭저럭.
- 오이소배기(표준어 찾아봤더니 '오이소박이') : 이것도 안 먹었다.
서비스
종업원분들이 특별히 불친절하고 싶어서 그런 것 같지는 않은데, 너무 바쁘다 보니 정신 없는 기색이 역력하다. 그래도 우리 방을 담당하신 분(두 여성분이 주로 번갈아 담당)은 꽤 친절하시더라능... 그런데 처음엔 우리가 하는 말을 두 번 연속으로 씹어서(실은 못들었겠지만) "여기 배짱 장사하는고만.." 이런 말도 잠시..;;; 후식으로 수박이 한조각씩 나오더라.
총평.
함께 동석한 '조미료' 십수년동안 안 먹었다는 어떤 분의 의견을 쫓자면, 냉면도 맛있고, 어복쟁반도 괜찮단다. 빈대떡에 대해선 대체로 너무 작다는 의견. 그러니 위에 적은 내 의견은 나처럼 라면이 밥보다 더 친한 자취하는 '싼 입맛'(ㅡ.ㅡ;)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라. 결론적으론... 가격대비론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 않다. 물론 '조미료' 싫어하고, 담백한 것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입맛에 맞을 것 같기도 하지만.
* 이미지는 야후 '거기' 남포면옥에서 업어왔다.
* 어찌어찌 포털 지역 정보 비교 (다음-네이버-야후) : 위치 및 가격
1. 위치 안내 : 약도는 물론 다음이 가장 좋다. 다음 - 네이버 - 야후 순(야후는 엉뚱한 동명가게를 소개하고 있는 것 같다).
2. 가격 정확도 : 네이버(정확) - 야후(약간 오래전 가격. 어복쟁반 4만5천. 냉면 6천5백 ) - 다음 (엄청 오래전 가격. 어복쟁반 4만2천. 냉면 5천5백) 순이라고 해야 할 듯. 이건 누가 업뎃하나? 아마도 네이버 노가다의 실력을 보면 포털사측에서 업뎃하는 것 같다. ㅡ.ㅡ;
야후 : 시청이나 을지로입구나 거기에서 거기인 것처럼 약도로 그려지고 있는데... 아무래도 감각상 시청이나 을지로입구에서 비슷한 거리감은 아닌 것 같아서 네이버를 찾아보니 야후 약도와 전혀 다르다. 야후 약도가 미쳤나 싶었는데, 가만히 보니 같은 이름의 가게가 하나 더 있다(같은 높이 우측을 보셈). 동일한 상호의 가게와 혼동을 일으켜서 잘못표시된 것 같다. 아래 네이버와 다음에서 '남포면옥'을 지역 검색하면 위 우측의 '남포면옥'을 보여준다. 야후에서도 메뉴 설명, 대문사진, 밑에 있는 댓글들으로 보면 같은 가게를 알려주고 있는 것 같은데, 위치 설명만 엉뚱하게 다르다. ㅡ.ㅡ;;;
다음 : 다음지도가 생각나서 다음을 찾았더니 확실히 폼나는구나.
그런데 시청 구조를 보면 최근 사진은 아닌 것 같고, 언제적 모습이려나?
네이버를 보면 2번이 가장 가까울 것 같지만, 다음 약도를 보면 을지로입구 1번이 좀더 수월할 것 같다.
암튼 야후 약도 설명은 착오일 가능성이 높으니, 이게 정말 착오라면 사람들 헛걸음시키지 말고 수정해야 할 듯.
영등포 송죽장 http://ebadac.textcube.com/262
을지로 안동장 http://ebadac.textcube.com/263
마침 어제 남포면옥이란 꽤 유명한 냉면집에 갔다.
여기는 워낙에 유명한 곳이라서 내가 어떤 안좋은 체험담을 써도 장사 잘 될거다. 게다가 내 글 읽고 꼭 가야지 하던 독자가 안 갈 것 같지도 않고.. 그래서 편하게 간단한 소감을 적어본다. 계산은 물론 내가 안했다. ㅡ.ㅡ;
이하 먹은 순서대로.
빈대떡 / 1만1천원(긴가민가해서 네이버 지역정보 찾아보니 1만1천. 1만원으로 기억하고 있었는디...)
: 동그랑땡 보다 약간 큰 빈대떡 두 장. 이건 그래도 그래도 먹은 중 가장 맛있었지만, 큰 동그랑땡이라고 해야지 이걸 빈대떡이라고 하기엔 좀..;;; 두 장을 시켰는데, 처음엔 3장이 나와서 일인분에 한장 반인가? 이랬다능. 잠시 뒤에 나머지 한장이 이산가족 상봉.

어복쟁반 / 4만9천원
: 신선로처럼 생긴 큰 놋쇠(?) 냄비에 쇠고기+버섯+계란+쑥(?)+떡사리+기타 등등의 재료가 들어간 전골. 그냥 적당히 그저그렇다. 가격대비로 보면 좀 아쉽다. 양은 남자 기준 세명 먹기엔 적당하고, 네명 먹기엔 약간 부족한 정도랄까.
어복쟁반. 이건 실물과 거의 같다.
가스불이 아니라 밑에 기름그릇(?)에서 불을 땐다(촌스런 표현 양해 바람).

가스불이 아니라 밑에 기름그릇(?)에서 불을 땐다(촌스런 표현 양해 바람).
물만두(어복쟁반에 넣는 만두사리용으로 시킴) / 가격 미상
: 어떤 블로거는 이게 냉동 물만두라고 하는데, 잘 모르겠다. 맛은 냉동 물만두 맛이나 이 맛이나 내가 워낙에 싸구려 입맛이라 그게 그건것 같더라. 양은 많지 않다.
물냉면 / 7천5백원
: 내가 조리료에 길들여진 싸구려 입맛이라서 그랬겠지만, 역시나 심심하더라능...;;; 별 맛을 모르겠다. 고기에선 약간 고기 비린내도 나고. ㅡ.ㅡ;;

양은 꽤 많은 편. 면발은 잘 끊어진다(그게 특징이란다).
밑반찬
- 동치미 : 시원하네 정도. 냉면 국물도 이거. 여기는 동치미가 유명하단다.
- 김치 : 이건 안 먹었다.
- 김무침 : 그럭저럭.
- 오이소배기(표준어 찾아봤더니 '오이소박이') : 이것도 안 먹었다.
서비스
종업원분들이 특별히 불친절하고 싶어서 그런 것 같지는 않은데, 너무 바쁘다 보니 정신 없는 기색이 역력하다. 그래도 우리 방을 담당하신 분(두 여성분이 주로 번갈아 담당)은 꽤 친절하시더라능... 그런데 처음엔 우리가 하는 말을 두 번 연속으로 씹어서(실은 못들었겠지만) "여기 배짱 장사하는고만.." 이런 말도 잠시..;;; 후식으로 수박이 한조각씩 나오더라.
총평.
함께 동석한 '조미료' 십수년동안 안 먹었다는 어떤 분의 의견을 쫓자면, 냉면도 맛있고, 어복쟁반도 괜찮단다. 빈대떡에 대해선 대체로 너무 작다는 의견. 그러니 위에 적은 내 의견은 나처럼 라면이 밥보다 더 친한 자취하는 '싼 입맛'(ㅡ.ㅡ;)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라. 결론적으론... 가격대비론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 않다. 물론 '조미료' 싫어하고, 담백한 것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입맛에 맞을 것 같기도 하지만.
* 이미지는 야후 '거기' 남포면옥에서 업어왔다.
* 어찌어찌 포털 지역 정보 비교 (다음-네이버-야후) : 위치 및 가격
1. 위치 안내 : 약도는 물론 다음이 가장 좋다. 다음 - 네이버 - 야후 순(야후는 엉뚱한 동명가게를 소개하고 있는 것 같다).
2. 가격 정확도 : 네이버(정확) - 야후(약간 오래전 가격. 어복쟁반 4만5천. 냉면 6천5백 ) - 다음 (엄청 오래전 가격. 어복쟁반 4만2천. 냉면 5천5백) 순이라고 해야 할 듯. 이건 누가 업뎃하나? 아마도 네이버 노가다의 실력을 보면 포털사측에서 업뎃하는 것 같다. ㅡ.ㅡ;


그런데 시청 구조를 보면 최근 사진은 아닌 것 같고, 언제적 모습이려나?
네이버를 보면 2번이 가장 가까울 것 같지만, 다음 약도를 보면 을지로입구 1번이 좀더 수월할 것 같다.
암튼 야후 약도 설명은 착오일 가능성이 높으니, 이게 정말 착오라면 사람들 헛걸음시키지 말고 수정해야 할 듯.
트랙백
트랙백 주소 :: http://minoci.net/trackback/880
댓글
댓글창으로 순간 이동!우리회사 근처에 잇는 음식점...저도 한 번 회식 때 가봤는데 별로 대단하다는 느낌은 안들었슴다. 회식 때 간거라 제 돈 내고 먹은게 아니라서 가격도 얼마인지 몰랐네요. 비용대비 효용이 좀 떨어지는 상황이 아닐까 싶긴 합니다여~ (물론 저도 입이 싸구려이기 때문에...^^;;;) 근데 민노씨, 요즘 웰빙하시는군요~ 저런 요리집에서 식사도 하시고...
저 역시 가격대비 품질에서는 그다지 높은 점수를 주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런데 글에서도 썼듯 제가 워낙에 싼입맛이라서리..;;;
웰빙이라뇨..ㅠ.ㅜ; 이런 건 두서너달에 한번 먹을까 말까라능...;;
저처럼 싼 입에는 조금 비싸게 느껴지는 식당.
이식당의 뭐니뭐니해도 가장 큰 단점은
큼지막하게 걸려있는 누군가의 싸인으로
뒷맛이 개운치 않다는 점이죠~
오, 불쾌한 사인이 있었나보죠?
저는 발견하지 못해서리..;;;
누군지 궁금하네요.
설마 MB는 아니겠죠? ㅡ.ㅡ;;;
헛, 큼지막한 前 서울시장님의 싸인을 못보시다니ㅠ
혹시 지금은 뗐나요?
이룬 그나마 맛있게 먹었던 큰 동그랑땡마저 분노의 역류을... ㅡ.ㅡ;;;
(내부가 좀 어수선해서... 주변을 제대로 살피지 못했거덩요..;;; )
음식을 잘 먹지 않는 아침시간인지라 이런 가득한 사진을 보면 점심 메뉴를 결정하기가 힘듭니다..
가까운 곳으로 가서 냉면이라도 먹고 거하게 식사를 할까 싶기도 한데 시원한 걸 먹기엔 참 날이 춥고 비오는군요... 냉면은 무리인게죠 ^^
김치전이나 먹으면서 ...
오후를 보내야겠습니다...
오, 샤이안님께서 친히 왕림해주셨고만요. : )
오늘 같은 날씨는 냉면보다는 온면으로다가...
최근에 암흑의 경로로 '라멘걸'을 봤는데(영화는 그냥 '농담' 수준) 갑자기 일본식 라면이 땡기네요...;;;
민노씨께서 이런 글을 쓰시니 새롭습니다..^^
남포면옥은 요즘 한국사람보다는 일본사람들에게 더 유명해진 것 같더라구요.
평양식냉면입니다만 지독한 평양냉면 매니아인 저에게는 냉면보다는 쟁반 먹으러 가는 곳이지요.
사실 쟁반도 여기보다는 평양면옥이 더 낫다는 것이 제 평가입니다.
영등포 송죽장의 매운 짜장면 생각하니 입안에 침이 고이는군요.
바람직합니다. 이런 글 자주 올려주세요..^^
미식가이신 상희님께서 와주셨군요. : )
역시나 해박하시고만요. ㅎㅎ
격려 말씀 고맙습니다.
앞으로 인상적인 맛집이 있으면 종종 쓰겠습니다. ^ ^
안가볼수없는 곳이네요.ㅋㅋ 하여간 저는 먹거리라면 우선 찜해놓고 언젠가는 꼭 가봅니다.^^
전 가격대비해선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는 않긴 하지만.. ^ ^
조미료 없는 담백한 맛을 좋아하시면 괜찮을 것 같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