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서비스는 시한폭탄, 2PM 박재범 사례… (그만, 09.9.6.)
당신도 박재범이 될 수 있다. (리승환. 09.9.7.)
한국비하 분개드립, 소셜미디어의 속성에 대처하기 (캡콜드. 09.9.7.)
#. 이 글은 생각나는대로의 무책임한 단상이다. 비판의견은 물론 환영.
1. 다양성 : 소통한다는 환상
문제의 본질은 소셜미디어가 다양성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을 지지하는 척하는 기만적인 상징으로만 유통되고 있다는 점이다. 좀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소셜미디어는 유행어로 유통한다. 트위터나 미투데이 같은 마이크로 블로그, 혹은 SNS가 소셜미디어적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처럼 광고되지만, 정말 그렇게 광고만 된다. 이것이 '광고'된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그것은 시장의 요구, 무선웹 시대에 IT관련 산업들의 돈벌이를 가능하게 해줄 다양한 상품의 가능성을 획일적인 욕구에 종속시킨다. 즉 거꾸로다. 다양한 의견과 사상과 취향의 가능성을 다양한 상품들이 지지하는 형태가 아니라, 그런 환상적인 소통이 획일적인 이윤추구의 목적 하에 다양성으로 채색된다. 실은 다양성을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이라고 착각하는 새로운 상품(이른바 소셜미디어)를 소비함으로써 다양성이 확장된다고 착각만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환상이 생겨난다.
그리고 여전히 기존의 폐쇄적이고, 권위적이며, 좆같은 관습적 패턴은 내내 안녕하시다. 그래서 대한민국이라는 좆같은 시스템에서 특히나 더 더욱 새로운 미디어의 잠재력은 기존의 제도적, 문화적 관습에 잠식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무선웹과 연동하는 단문 위주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인맥서비스), 가령 트위터와 미투데이, 싸이월드 등은 이런 획일화된 시장욕구의 얼굴마담 역할을 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아 보인다.
2. 맥락
특히 트위터나 미투데이와 같은 단문 위주의 커뮤니케이션 기제들은 맥락을 거세시키고, 단편적인 편린들을 직관적인 형태로 수용하는 심리적 수용패턴을 구조화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가장 발전한 것으로 알려진 특유의 한국적 저널리즘, 소위 '미끼저널리즘' 혹은 '찌라시즘'의 훌륭한 먹이가 된다. 여기에서 다양성을 소구할 수 있는 '맥락'은 철저하게 축소되거나 증발해버린다.
그리고 결국 맥락이 거세된 '이슈'는 한겨레 같은 이른바 진보매체도 지지해마지 않는 애국주의 마케팅의 도구로 전락한다. 그것은 마케팅 도구면서, 그 대상이며, 동시에 감각적이고, 자극적이고, 정치적인 담론기제다. 획일화된 관극틀은 일단 편리하다. 그리고 순발력 있는 담론생산과 유통, 그리고 선정적인 틀짓기를 가능케 한다. 이른바 흑백논리와 이분법적 시선은 늘 당신의 심장에 불을 지른다. 이것이 전적으로 부정적인 속성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늘 민주주의와는 별로 친하지 않았다.
3. 시장의 논리 : 애국주의 마케팅
일이십대 빠돌군과 빠순양을 대상으로 하는 이른바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표피 그 자체가 본질인 현상들을 만들어낸다. 스타일과 섹시함이 지고의 가치로 떠오른다. 그리고 이제 그것들을 상품화하는데 전력을 기울임으로써 소위 일이십대 문화의 내면적인 상징이었던 '저항문화'는 구호의 수준으로도 남아있지 않게 되었다. 붕가붕가와 러브러브가 그 구호를 대신한다. 미끈하고, 단순반복적인 유치원 타입 사이키델릭(가령 소녀시대의 '지지지'나 손담비의 '토요일밤에' 같은)이 우리 시대의 문화의 주류가 되어버렸다.
그러니까 박재범의 하소연, 혹은 불평불만은 대단히 정치적이고, 비판적인 맥락을 갖는다. 그런데 그 맥락은 물론 거세된 채로, 대한민국 찌라시즘과 애국주의는 손쉬운 마녀사냥에 돌입한다. 그리고 그 마녀사냥의 회오리 바람에서 이른바 그 실체가 의심스럽기 그지 없는 '네티즌'이 동원된다. 네티즌은 마치 찌라시즘의 일당 없는 노예같다. 그리고 그게 그대로 여론이 되고, 그렇게 쓰레기로, 맥락도 없고, 철학도 없고, 고민도 일절 없는 쓰레기 그 자체로 유통된다. 그러니까 저널리즘은 자신의 직무를 적극적으로 유기했으면 좋겠을 바로 그 수준으로까지 스스로의 정체성을 쓰레기 통에 쳐박고, 아주 불쌍할만큼 타락한 극저질의 구역질나는 쓰레기들만을 유통시킨다.
4. 결 : 요약.
(문득 여기까지 읽은 독자의 노고에 글을 빨리 끝내는게 보은하는 길이라는 깨침을 얻어.. 서둘러 끝낸다.)
트위터나 미투데이로 대변되는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잠재력은 '다양성'의 확장에 있다. 그것은 물론 앞서 지적한대로 표피적인 가짜 상징들, 고리타분하고, 관성적인 권위주의, 그리고 한국적 찌라시즘의 구조, 그리고 시대정신 그 차체인 붕가붕가와 러브러브의 철학없는 문화적 토양 아래서 목하 그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기 보다는 아예 기대조차 불허하는 것 같다.
웹은 물론 도구다. 그것은 도구이며, 그 안에 내재적인 철학과 그 잠재적 가능성을 담고 있는 대단히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도구다. 그런데 그 다양성도, 현재 스코어, '소셜'이라는 대단히 바람직한 '가식'을 장착한 채로, 이른바 '스타 트위터' '유명인 트위터'의 연예인 우상화 구조로 변질된다. 이런 변종스럽고, 퇴행적인 현상을 한겨레나 시사인 같은 이른바 진보언론들에서도 앞장서서 두둔한다.
리승환이 지적하는 것처럼 "한국은 좆같은 나라"이기도 한데, 그 맥락은 거세되고, 고민할만한 가능성, 즐겁게 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은 증발한 채로, 그 불경한 목소리만 거룩하기 짝이 없는 대한민국, 그 고결한 시장의 법칙에 의해 '일망타진'된다.
좆같다.
* 발아점
한국비하 분개드립, 소셜미디어의 속성에 대처하기 (캡콜드. 2009. 09. 07)
TAG SNS,
거세,
다양성,
대한민국,
마이크로 블로그,
맥락,
모바일,
무선웹,
미디어,
미투데이,
블로그,
상징,
소셜미디어,
소통,
시장,
애국주의,
웹,
좆같다,
캡콜드,
컨텍스트,
트위터,
표피,
환상
트랙백
트랙백 주소 :: http://minoci.net/trackback/955
댓글
댓글창으로 순간 이동!* 한겨레 기사 본문 링크 보충.
트위터 vs. 미투데이 관련한 애국주의 마케팅 관점에서 쓰여진 애국심 넘치는 애국 기사.
http://www.hani.co.kr/arti/specialsection/newspickup_section/371061.html
개인적으로 이번 글은, 제목 뒤에 길게. 라고 써주셨으면 했는데. ㅎㅎ
아무튼 너무나 공감가게 잘 읽습니다.
누가 보면 짜고 치는 고스톱인줄 알겠습니다. ㅎㅎ
30분 남짓(?) 막 갈겨쓴 글이라서 비문과 논리적 비약, 부정확한 묘사들이 이건 뭐 넘쳐나네요.
과분한 격려 말씀이지만, 큰 힘이 되네요.
좀 길게 쓸 걸 하는 생각도 스칩니다.
빠트린 부분이 너무 많고요.
한국은 ㅈ 같은 나라가 분명해보이는데요, 문제는 이른바 진보적인 미디어들도, 심지어 진보적 운동단체들, 그룹들 내에도 그런 ㅈ 같은 모습을 보일 때가 있지요.
젊은이들 젊은 세대들, 아직 기성인이 안된 이들이 할 일이 참 많은 나라지요..
눗님 덕분에 '브로콜리 너마저'라는 밴드를 알게됐네요.
더불어 MP3의 사적 이용범위에 관한 글도 잘 읽었습니다.
좀 아리까리한데.. 좀더 자료를 찾아보고 글을 쓰고 싶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 )
'트위터나 미투데이로 대변되는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잠재력은 '다양성'의 확장에 있다. '라고 하셨는데, 제 생각에, '다양성의 확장'은 블로그같은 서비스에는 맞는 말일지는 모르지만...트위터나 미투하고는 별 상관은 없는 것 같아요...그들의 속성은 접근 용이성과 '비동기적이긴 하나, 거의 리어탈임' 이라는 신속성에 기인한다고 보는데, 사회적 잠재력'의 관점에서 다양성이 확장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여집니다. 차가 빠르게 달리면, 여러군데를 자세히 볼수는 없죠.
SNS의 속성이 강한 마이크로 블로그는 직관적이고, 감성적인 경향을 갖는다는 점에서 좀더 쉽게 '나와 다른 생각들'과 접할 수 있는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것이 표피적이고, 휘발적이라는 점은 있겠지만요. 그러니 만지작님께서 말씀하신 "접근의 용이성"이라는 차원에서도 블로그와 같은 (이제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매체'는 동질적 집단의 네트워크적 가능성 확장에는 유리하겠지만, 다른 의견의 접촉이라는 점에서는 벌써부터 약점을 갖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있습니다.
적극적인 논평 고맙습니다.